검색결과26건
자동차

국내선 품질 논란, 해외선 배출가스 조작…대내외 악재 만난 현대차

현대자동차그룹이 대내외 악재로 울상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가 최근 출시한 신차 '더 뉴 팰리세이드'에서 주행 도중 시동이 꺼지는 현상을 겪었다는 차주들의 신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현재 국토교통부 산하 자동차리콜센터에 접수된 신고만도 수십 건에 이르고 있다. 내용은 도로 주행 중 시동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했고 이후 변속기를 주차(P) 상태로 변경한 뒤 재시동을 시도했을 때 시동이 걸려 이후 운행이 가능했다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부분 50㎞ 이내의 저속 주행 중 시동 꺼짐이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더 뉴 팰리세이드는 팰리세이드의 후속 모델로 3년 5개월여 만에 내놓은 부분변경 모델이다. 그러나 출시된 지 두 달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현대차 측은 이 같은 결함을 인지하고 있고 현재 대응 중이라는 입장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고객의 불만에 관해 내용을 알고 있고 문제에 대한 원인을 계속 파악하고 있다"며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독일 검찰은 현대차·기아의 유럽 현지 사무소를 전격 압수수색했다. 현대차·기아는 2020년까지 불법 배기가스 조작장치를 부착한 디젤 차량 21만여 대를 유통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불법 배기가스 조작 장치를 부착해 자동차 검사를 받을 때는 대기 오염물질이 적게 배출되게 속이고, 실제 운행 때는 더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한 게 아닌지 강제수사를 통해 확인하겠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지난 2015년 이른바 '디젤게이트' 사태 이후, 독일 검찰이 외국 완성차 업체에 대한 수사를 확대하는 차원에서 이번 압수수색이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 폭스바겐과 아우디 등 유럽 자동차 회사 대부분이 연루돼 타격을 입었지만, 현대차에서는 조작이 확인된 적이 없었다. 현대차그룹은 "성실히 조사에 임하겠다"며 수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만약 혐의가 인정될 경우에는 막대한 배상금은 물론 유럽 시장 점유율 확대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악재를 만나 시름하고 있다"며 "가뜩이나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생산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각종 악재가 쏟아지면서 하반기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나마 위안은 올해 노조 파업은 없을 거란 점이다. 현대차 노사는 12일 기본급 9만8000원 인상 등을 담은 올해 임금협상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잠정합의안은 임금 인상과 성과금·격려금 지급 등을 포함해 전기차 생산 전용 국내 공장 신설, 생산·기술직 신규 채용 등을 담았다. 노사는 이번 잠정합의안을 파업 없이 마련해 2019년 이후 4년 연속 무분규 합의를 이뤄냈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07.14 07:00
자동차

현대차·기아, 독일서 압수수색…배기가스 조작 의혹

독일 검찰이 현대차와 기아의 독일과 룩셈부르크 현지사무실 8곳을 압수수색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현지시간 28일 독일 검찰은 현대차와 기아가 불법으로 배기가스를 조작한 혐의가 있다고 보고, 수사인력 140명을 투입해 압수수색을 벌였다. 현대차와 기아, 부품업체 보르크바르너 그룹은 불법으로 배기가스를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두 업체가 2020년까지 불법 배기가스 조작장치를 부착한 디젤 차량 21만대 이상을 유통했다고 밝혔다. 또 이 장치로 차량의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일상에서 수시로 가동이 줄어들거나 꺼져 허가된 이상의 산화질소를 배출했다고 설명했다. 적발된 차량은 현대차와 기아의 디젤엔진이 부착된 모든 모델이다. 현대기아차 측은 이날 독일 현지에서 압수수색을 확인했으며 “회사는 당국과 협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06.29 09:04
경제

요소수 이어 경윳값 폭등…디젤차가 사라지고 있다

경유(디젤)차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다. 1년 새 판매량이 약 38%나 뚝 떨어졌다. 대기오염 주범이라는 인식에 더해 지난해 요소수 부족 사태로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중고차 시장에서도 찬밥신세가 된 지 오래다. 설상가상 최근 경유 가격이 고공행진을 벌이면서 디젤차의 장점이던 저렴한 연료비마저 사라져 가뜩이나 좁아진 입지는 더욱 줄어들 전망이다. 10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디젤차 판매량은 총 2만7906대로 전년 동기(4만4839대) 대비 37.8% 하락했다. 올해 1분기 누적 판매량 역시 8만5728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12만9169대) 보다 33.6% 줄었다. 이에 따라 디젤차의 시장 점유율로 빠르게 줄고 있다. 지난해 1분기 31.4%에서 올해 1분기 21.9%로 10%p 감소했다. 국내 소비자의 디젤차 기피 현상은 중고차 가격에도 반영되고 있다. 직영중고차 플랫폼 케이카에 따르면 이달 디젤차 중고차 가격은 최대 7.6% 떨어졌다. 가솔린차가 최대 4.6% 떨어진 것을 고려하면 감소폭이 두 배에 달했다. 디젤차인 BMW X1은 전월 대비 7.6% 하락한 1217만 원으로 시세가 가장 많이 떨어졌다. 이어 BMW 5시리즈는 5.2%, 1시리즈 4.5%, 제네시스 G80 3.8%, G70 3.2% 등 순으로 하락했다. 온라인 중고차 매매 플랫폼 엔카닷컴에서도 2019년식 기아 스포티지 더 볼드 디젤 2.0 2WD 노블레스 트림은 2020년 3월 기준 2471만 원이었으나 현재는 2230만 원으로 200만 원 이상 떨어졌다. 반면 같은 연식의 가솔린 2WD 노블레스 트림은 현재 2190만 원으로 2년 전(2197만 원) 대비 차이가 없다. 디젤차는 2010년만 해도 ‘클린 디젤’이라는 구호 아래 수입차를 중심으로 판매가 대폭 증가했다. 수입차 시장에서 지난 2010년 2만3006대(25.40%)에 불과했던 디젤차 판매량은 2011년 3만6931대(35.16%)로 뛰며 처음 30%대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후 2012년에는 점유율 50.95%로 가솔린을 넘어선 후 2015년에는 68.85%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 2015년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태 이후 디젤차 판매는 꾸준히 떨어졌다. 지난해 중국 정부가 요소 수출을 제한하면서 불거진 요소수 부족 사태도 디젤차 수요에 악영향을 줬다. 디젤차는 요소수가 없으면 차량 운행이 불가능하다. 지난해 월별 신차 등록을 보면 1월을 제외하고 11개월 연속 디젤차 판매량이 전년 같은 달보다 큰 폭 줄었는데, 요소수 사태가 심각했던 10월에는 판매량이 63.1% 급감하기도 했다. 여기에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경유 가격이 급등하면서 '탈 디젤'이 가속화되는 모양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4월 첫째 주 전국 평균 휘발윳값은 리터(ℓ)당 1990.5원, 경윳값은 1911.8원이다. 올해 초만 해도 휘발유는 1600원, 경유는 1400원대로 두 유종 가격 차가 200원 정도 났으나, 지금은 경윳값이 더 많이 올라 차이가 100원도 나지 않는다. 일부 주유소에서는 경윳값이 휘발윳값보다 비싼 경우도 나온다. 휘발유차보다 유지비가 덜 든다는 디젤차의 장점이 사실상 사라진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디젤차 소유주 중에서도 전기차·LPG로 눈을 돌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적어도 ‘다음에는 디젤차는 안 산다’는 분위기다. 이에 맞춰 완성차 업체들도 디젤차 상품군을 줄이거나 단종하고 있다. 현대차는 쏘나타와 그랜저, 코나 등의 디젤 모델을, 기아도 셀토스와 K5, K7 등 디젤 모델의 생산을 각각 중단했다. 제네시스도 지난해 G70과 G80 디젤차 모델 생산을 중단하며 세단으로는 더는 디젤차를 생산하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경유 가격이 고공행진을 벌이면서 가뜩이나 좁아진 경유차 입지가 더욱 줄어들고 있다"며 "친환경차가 디젤차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만큼 디젤차가 줄어드는 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4.11 07:00
경제

"저무는 디젤차 시대"…신차도, 중고차도 거래 '뚝'

디젤차 시대가 빠르게 저물고 있다. 2015년 불거진 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배출가스 조작 파문) 사태 이후 줄어들던 디젤차 수요가 최근 요소수 사태로 더욱 쪼그라들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도 앞다퉈 디젤차 단종과 함께 전기차·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출시를 서두르면서 디젤차의 점유율 감소는 더욱 가속할 전망이다. 중고차 시장도 마찬가지다. 디젤차를 찾는 이들이 줄면서 하루가 다르게 가격이 내려가는 모양새다. 안팔리는 디젤차 24일 자동차 조사기관인 카이즈유 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1~10월) 국내 시장에 판매된 디젤차는 36만8593대로 전년 동기(49만7314대) 대비 25.9%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하이브리드차 판매량은 15만2326대로 전년보다 32.8% 늘었고, 전기차는 7만9883대로 101.7% 급증했다. 특히 지난달 디젤차 판매량은 2만261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5만4853대)보다는 63.1%나 감소했다. 하이브리드(1만9182대)와 전기차(1만860대) 판매량이 자동차용 반도체 수급난 속에도 전년 대비 각각 43.3%, 169.3% 증가한 점 등을 고려하면 디젤차 판매 감소세가 가파른 모습이다. 디젤차는 2010년 이후 ‘클린 디젤’이라는 구호 아래 수입차를 중심으로 판매가 대폭 증가했다. 수입차 시장에서 지난 2010년 2만3006대(25.40%)에 불과했던 디젤차 판매량은 2011년 3만6931대(35.16%)로 뛰며 처음 30%대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후 2012년에는 점유율 50.95%로 가솔린을 넘어선 후 2015년에는 68.85%의 점유율을 기록했지만 지난 2015년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태 이후 디젤차 판매는 꾸준히 떨어졌다. 여기에 최근 배출가스 규제로 전기차·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에 밀려 설 자리를 잃은 데다요소수 품귀 현상까지 더해지면서 입지가 급격히 좁아진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디젤차 종말은 정해진 수순이며, 요소수 사태로 인해 국내에서 퇴출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일부 수입차 업체들이 국내에 '재고떨이 식'으로 디젤차를 들여오고 있었는데 이번 요소수 품귀현상으로 인해 소비자의 부담도 덩달아 커졌다"며 "요소수 품귀 사태로 디젤차가 줄어드는 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중고찻값도 하락세 디젤차의 수난은 중고차 시장에도 마찬가지다. 최근 거래가 크게 줄고 있다. AJ셀카가 이달 중고차 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중고 디젤차 전체 거래량은 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찻값 역시 빠르게 떨어지는 추세다. 지난달 중고차 시장의 대표 세단인 '그랜저 IG'와 '아반떼 AD' 디젤 모델은 전월 대비 시세가 각각 8%, 2% 감소했다. 인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디젤 모델 중 '더 뉴 쏘렌토' 11%, '싼타페 TM' 8%, '올 뉴 투싼' 10%로 하락세를 보인다. 올해 3분기까지 전기차 신차 누적 판매량은 7만1006대로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했는데, 이와 함께 중고차 시장에서도 디젤 차량보다는 친환경 차량에 대한 거래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전월 대비 전체 전기차 평균 시세는 14% 상승했고 거래량도 150% 늘어났다. 특히 국산 대표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평균 시세는 전월 대비 7% 상승하며 중고차 시장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친환경차 보급이 본격화된 가운데 전기차의 높은 가격과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소비자 중심으로 내연기관의 효율성을 개선한 하이브리드 모델에 대한 선호도 역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중고 'LF쏘나타 하이브리드'와 '니로 하이브리드' '그랜저 IG 하이브리드' 시세가 전월 대비 각각 0.49%, 4%, 13% 상승했다. 그랜저IG는 디젤 모델과 하이브리드 모델의 시세 증감률이 대조를 이룬 것이 눈에 띈다. AJ셀카 관계자는 "국내 산업계가 요소수 대란과 친환경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까지 겪고 있는 가운데 중고차 시장에서도 디젤차 중심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생산 중단 잇달아…빈자리는 전기차 몫 각 제조업체에서도 디젤차 단종 수순을 밟고 있다. 빈자리는 전기차가 채운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는 2035년 이후 내연기관차 생산과 판매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GM은 2025년까지 전 세계에 30종 이상의 전기차를 출시하고, 향후 5년간 연구·개발에 270억 달러(약 31조9000억원)를 투입하기로 했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2030년부터 전 차종을 전기차로 출시하기로 했으며, 배터리 전기차 부문에만 400억 유로(약 54조75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폭스바겐은 2030년까지 신차 절반을 전기차로 판매할 계획이며, 2035년에는 유럽에서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한다. 볼보는 2030년까지 생산하는 모든 차종을 전기차로 전환할 예정이다. 국내 완성차 업계에서는 제네시스가 전동화의 선봉에 나선다. 제네시스는 2025년부터 출시하는 모든 신차를 전기차와 수소차로 내놓을 계획이며, 2030년에는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하고 전기차·수소차만 생산·판매할 방침이다. 현대차도 올해 초 디젤 엔진 신규 개발을 완전히 중단하기로 했으며, 디젤 엔진 생산도 점진적으로 줄일 방침이다. 이를 통해 현대차는 전동화 비중을 오는 2030년 30%, 2040년 80%까지 높일 계획이다. 유럽에선 2035년부터 전기차만 판매하고, 2040년에는 미국과 한국 등 주요 시장에서 순차적으로 모든 차량의 전동화를 완료할 방침이다.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 빠른 속도로 바뀌고 있다. 작년만 하더라도 "전기차 구매는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긴 주행거리와 첨단 기술을 탑재한 전기차가 계속 나오고 있고, 올해는 현대 아이오닉5, 기아 EV6, 제네시스 GV60 등 국산 전기차가 연이어 출시되며 전기차에 대한 여론이 반전되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환경오염 이슈로 디젤 엔진에 대한 거부감이 커졌다. 여기에 최근 요소수 대란으로 요소수 보충에 대한 번거로움까지 부각되면서 디젤 엔진 퇴출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라며 "디젤차가 떠난 자리는 친환경차로 꼽히는 전기차의 차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11.25 07:00
경제

잘 팔리고 평가 지표 상위권, 수입차 시장 꽉 잡은 벤츠

메르세데스 벤츠가 수입차 시장에서 승승장구하고 있다. 올해 판매량 1위는 물론, 애프터서비스(AS) 등 각종 평가 지표에서도 수년째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올해 9월까지 6만2232대를 팔아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6.2% 성장했다. 수입차 전체 1위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같은 기간 벤츠의 시장점유율은 30%가량이다. 올해 팔린 수입차 10대 가운데 3대는 벤츠였다는 얘기다. 업계에서는 2위인 BMW(5만2441대)와 격차가 1만대가량 벌어져 올해 벤츠가 '6년 연속 수입차 판매왕'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벤츠의 '고속 질주' 배경으론 젊어진 이미지와 함께 높은 네임 밸류, 다양한 라인업 등이 꼽힌다. 아울러 경쟁업체인 BMW와 아우디·폭스바겐이 각각 화재사고와 배기가스 조작으로 이미지를 구긴 데 따른 반사이익도 보고 있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몇 년간 벤츠의 라인업이 눈에 띄게 좋아졌다. 주력 차종이 예전에는 C-E-S클래스였는데, 최근에는 GLC-GLE-GLA 등 크로스오버 SUV 라인업을 잘 갖춘 것이 국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배경"이라고 말했다. 꾸준한 품질 역시 수입 1위 수성의 비결이다. 벤츠코리아는 현재 전국 총 59개 공식 전시장과 73개 공식 서비스센터, 1200개 이상의 작업대(워크베이)를 통해 높은 수준의 제품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 인당 최소 320시간의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1500여 명의 전문 기술 인력을 배치하고 있고, 숙련도와 전문성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매년 30여 개의 기술·서비스 전문가 양성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신속하고 원활한 부품 공급을 위해 2014년 540억원을 투자해 경기도 안성에 부품물류센터를 건립했고, 2018년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350억원을 추가 투입해 2배로 확장했다. 이에 힘입어 벤츠코리아는 지난 25일 '2021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자동차AS(수입 자동차) 부문에서 6년 연속 1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KS-QE는 산업별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한국표준협회와 한국품질경영학회가 실제 소비자 및 해당 분야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매년 발표한다. 앞서 지난 7월엔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선정 '2021 한국산업의 서비스품질지수(KSQI)'에서 '수입 자동차판매점'과 '수입 인증 중고차' 2개 부문 1위에 올랐다. '수입 자동차판매점' 부문은 7년 연속 수상이다. KSQI는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국내 산업의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는 지수다. 전문 교육을 받은 서비스평가단이 고객 접점에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 품질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지난 5월에는 한국소비자협회가 주관하는 '2021 대한민국 소비자 대상'에서 글로벌 브랜드 부문 4년 연속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벤츠 관계자는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4~7년 연속 수상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최고의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봐 달라"며 "앞으로도 차량 판매뿐 아니라 서비스 품질에서도 수입차 1위의 위상을 지켜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10.28 07:00
경제

사상 최대 실적 낸 수입차…신뢰도는 역대 최악

수입차가 지난해 처음으로 26만 대 판매를 넘어섰으나 급성장의 그늘도 짙어지고 있다. 리콜 증가와 더불어 배출가스 조작·허위 광고 등 각종 문제가 속출하고 있어서다. 질적 성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21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 판매는 26만705대로 전년 동기(23만3088대) 대비 11.8% 증가했다.1987년 수입차 전면 개방 이후 30여 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시장점유율 또한 16.7%로 사상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문제는 수입차 전성 시대를 맞고 있지만 제작 결함 문제가 급증하고 있다는 데 있다.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차는 1063개 차종에서 61만8484대가 리콜됐다. 사상 최대치로, 지난해 판매량을 두 배 웃도는 수치다.수입차 리콜 건수를 연도별로 보면 2014년 402개 차종 13만6633대·2015년 470개 차종 24만7861대·2016년 522개 차종 22만2014대·2017년 767개 차종 30만1940대 등 꾸준한 증가세를 보인다.지난해 리콜 규모가 커진 주원인 중 하나는 BMW의 '주행 중 화재' 사태다. 엔진에 장착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의 결함으로 520d 모델을 포함한 42개 차종 10만6317대의 차량을 리콜하게 됐다. 국내에서 이뤄진 수입차 리콜 중 사상 최대 규모다.더 큰 문제는 수입차 업체들의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는 것이다.닛산은 지난 16일 연비·배출가스 관련 표시광고법 위반 혐의로 9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한국닛산과 모회사인 일본닛산이 차량의 연비를 과장하고, 대기환경보전법 등 배출가스 기준을 준수하는 것처럼 사실과 다르게 거짓 광고했다는 이유에서다.한국토요타에도 지난 15일 8억1700만원의 과징금이 부과됐다. 미국에서 '최고 안전 차량'으로 선정된 차에서 안전보강재를 뺀 채 국내시장에 팔면서 관련 내용을 그대로 광고했다는 이유다. 한국토요타는 국내에 출시한 SUV 모델 '라브(RAV)4'에 미국 출시 차량과 달리 안전보강재가 장착돼 있지 않음에도 미국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가 선정한 최고 안전 차량인 것으로 광고했다.지난해 12월 20일에는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에 벌금 28억원이 선고됐다. 환경 당국에서 변경 인증을 받지 않은 배출가스 관련 부품 장착 차량을 국내에 들여왔기 때문이다. 벤츠코리아는 배출가스 변경 인증을 받기 전 7000대에 달하는 차량을 수입해 판매한 혐의로 기소됐다. 벤츠코리아는 2014년 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소음 관련 부품과 배출가스 관련 부품이 변경됐음에도 인증받지 않은 채 시가 총 6245억원에 해당하는 차량 6749대를 수입한 혐의를 받는다.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입차가 사상 최대의 판매 실적을 보이고 있지만 잇단 리콜 조치로 관련 차량 소유자들의 불만 또한 극에 달하고 있다"며 "수입차 26만대 시대로 양적 성장을 이뤘지만, 정작 안전 관리 대처가 미흡하고 사후관리(AS) 망의 확충도 필요하다.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9.01.22 07:00
연예

굳건한 '벤츠 천하'…상반기 수입차 킹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메르세데스 벤츠의 상승세가 무섭다. 지난해에 이어 올 상반기에도 판매 1위를 기록, '독주 체제'를 굳히는 모양새다. 경쟁업체인 BMW도 지난달 판매대수를 늘렸지만 벤츠 기세를 꺾기에는 역부족이다. 수입차 시장에서는 '적수가 없다'는 표현이 나올 정도다.9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올 6월까지 국내에 신규 등록한 수입차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늘어난 11만8152대로 집계됐다.이 중 벤츠는 3만7723대를 팔아 작년(2만4488대)에 비해 실적이 무려 54.0%나 증가하는 기염을 토했다.특히 6월 판매량은 7783대로 수입 브랜드 월 최다판매 기록도 갈아치웠다.시장 점유율도 크게 확대됐다. 벤츠의 올 상반기 점유율은 31.9%로, 전년 동기 21% 대비 약 11%포인트 올랐다.반면 BMW는 올해 상반기 2만8998대를 기록해 지난해보다 25.2% 판매를 늘렸지만, 벤츠와 격차를 좁히는 데 실패했다. 지난해 격차는 1334대였지만 올 상반기에는 8725대로 6배 이상 벌어졌다.업계는 BMW가 벤츠와의 경쟁에서 뒤쳐진 이유로 '신형 5시리즈'의 부진을 꼽고 있다. 올 초 출시된 BMW 520d는 올 상반기 2808대 팔려나가 가장 많이 팔린 수입차 8위에 그쳤다.반면 지난해 출시된 벤츠 E클래스는 그 동안 밀렸던 주문량을 해소하며 올해 6월까지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수입차 10종 중 4종에 이름을 올렸다. E220d는 4917대가 팔려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 1위를 기록했고, E300 4매틱과 E300이 각각 3639대, 3258대로 3위와 5위를 기록했다. E200도 3045대가 팔리며 7위에 올랐다.업계에서는 당분간 벤츠의 독주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BMW 신형 5시리즈의 신차 효과가 미미한데다 아우디폭스바겐의 판매 정지는 언제 풀릴지 기약이 없고 재규어랜드로버 등 주요 경쟁 브랜드 역시 올해는 성적이 부진하기 때문이다.한 업계 관계자는 "올해 수입차 시장은 벤츠의 독주를 막을 마땅한 경쟁자가 없는 상황"이라며 "연비 및 배기가스 조작 등의 돌발 변수만 나타나지 않는다면 당분간 '벤츠 천하'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7.07.10 07:00
경제

배출가스 조작 아우디·폭스바겐 과징금 373억원…역대 최대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디젤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부당·거짓 광고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이하 AVK)에 과징금 373억2600만원을 부과했다고 7일 밝혔다. 표시광고법 상 역대 최대 액수의 과징금이다.공정위는 아우디와 폭스바겐 본사에는 시정명령을 내렸고, 폭스바겐 본사 및 전·현직 고위임원 5명은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최근 황사·미세먼지 등으로 소비자들의 대기환경에 대한 관심이 큰 상황에서 차량의 친환경성 여부를 부당하게 표시·광고한 사안을 중대하게 판단했다"며 "폭스바겐 매출액 4조4000억원의 1% 정도를 적용해 과징금을 산정했다"고 말했다.AVK와 폭스바겐 본사·아우디 본사는 2007년 12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신문과 잡지·인터넷·브로셔 등에서 디젤 차량에 대해 유로-5 기준을 충족한다는 등 친환경성을 강조한 과장 광고를 했다.특히 이들은 '한층 깨끗한 배출가스로 유로-5 기준을 쉽게 만족' '탁월한 연비와 퍼포먼스를 발휘하면서 유로-5 기준까지 만족' 등의 문구를 쓰면서 친환경성과 함께 높은 연비와 성능을 자랑한다고 허위 광고하기도 했다.실제로 AVK의 디젤차 판매량은 이 같은 광고를 한 이후 15배나 급증했다. 지난 2008년 4170대에 불과했던 디젤차 판매량은 2015년에 6만2353대에 이르렀다.이 기간 동안 폭스바겐과 아우디는 각각 1.6ℓ와 2ℓ EA189 디젤 엔진을 탑재한 디젤 차량을 약 12만대 판매했다.유럽에서는 디젤 차량에 대해 질소산화물 0.18g/km 이하로 배출하도록 하는 등의 기준을 정해놨고 한국 대기환경보전법에서도 같은 기준을 채택하고 있다.하지만 이들은 오직 인증시험에서만 유로-5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만족하도록 저감장치를 조작했다. 고객이 차량을 운행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기준을 넘어서는 배기가스나 배출된 것이다. 실제로 AVK 등 3사는 사건 이후 해당 차량이 유로-5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충족하는 상태에서 표시된 연비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 조은애 기자 cho.eunae@joins.com 2016.12.07 16:17
경제

폭스바겐 디젤게이트 1년…소비자 피해만 '눈덩이'

작년 9월18일 미국 환경보호청이 폭스바겐 디젤(경유)차의 배출가스 조작을 밝힌 지 1년이 지났다. 하지만 사태는 좀처럼 사그라들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위조된 서류로 차량 인증을 통과한 폭스바겐 32개 차종 8만3000대에 대해 정부가 인증취소·판매중지 처분을 내리는 등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폭스바겐 브랜드를 믿고 차량을 구매한 소비자들의 피해 역시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공수표에 그친 신차보상제도18일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일 환경부의 폭스바겐 인증 취소 및 판매중지 여파로 신차보상제도 소비자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신차보상은 차량 구매 후 1년 동안 차량가액의 30%가 넘는 파손 사고를 당하면 동종 신차를 지급하는 프로그램이다. 폭스바겐 파이낸셜을 이용해 할부로 폭스바겐 차량을 구입한 고객이 대상이다. 연 이자율이 은행권 대출보다 높은 편이지만, 만약의 경우 재산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어서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았다.하지만 최근 골프·티구안 등 폭스바겐 차량 대부분이 인증 취소 및 판매 정지를 당하면서 신차보상을 기다리던 소비자들은 난처한 상황에 처했다. 불의의 사고로 인해 차량이 파손됐지만 폭스바겐 측이 정부의 판매 중지을 핑계로 신차 교환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폭스바겐 측에 신차 교환을 요구한 고객은 5명 정도다.폭스바겐은 이들에게 "동급의 다른 차종으로 교환해주겠다"고 답변하고 있지만 골프나 티구안의 경우 교환이 가능한 동급의 다른 차종이 없어 사실상 교환이 불가능한 상황이다.수입차 업계 한 관계자는 "수입차 브랜드 경우 국산차 브랜드와 달리 차량 라인업이 많지 않다"며 "'동급의 다른 차종의 교환'은 사실상 교환을 안해주겠다는 것과 다름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증 취소된 폭스바겐 차량이 7월말까지 판매됐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 같은 피해사례는 신차보상제도 기간이 끝나는 앞으로 1년여 간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이에 폭스바겐코리아 측은 "신차보상제도는 보험사와의 계약문제가 얽혀있어 복잡하다"며 "해당 보험사와의 협의로 빠른 시일내에 보상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중고차값 하락에 리콜·배상도 기약 없어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폭스바겐 소비자들은 중고차값 하락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실제 SK엔카닷컴에 등록된 폭스바겐 모델 매물의 평균 시세 하락율은 11.9%에 달했다. 디젤게이트가 터진 직후인 지난해 10월 대비 올 8월 비교폭으로 아우디(7.6%), BMW(7.6%), 벤츠(8.5%) 등 다른 독일 브랜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중고차 업계 관계자는 "폭스바겐의 판매정지로 인해 중고차 시장에서의 가치 역시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며 "추석 연휴가 끝나면 등록 매물도 늘어 추가 하락은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배출가스 조작과 관련된 차량의 소유주들도 피해를 보고 있기는 마찬가지다.우선 배상문제에서 미국 소비자와 차별을 받고 있다.폭스바겐 그룹은 지난 6월 미국 차량 소유주에게 1인당 최고 1만달러(약 1160만원)의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확정 지었다. 반면 한국 소비자는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다. 폭스바겐코리아는 "한국은 미국과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배상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1년째 고수하고 있다.폭스바겐코리아 관계자는 "한국과 유럽에서는 법적으로 임의 설정에 해당하지 않으며 미국에서만 법적으로 문제가 된다"고 주장했다.한국 소비자들은 리콜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는 올 들어 세 차례에 걸쳐 폭스바겐의 리콜 계획이 미흡하다며 반려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폭스바겐이 리콜 계획서를 내면서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한 임의 설정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아 리콜 서류를 되돌려 보냈다"고 말했다.업계에서는 소비자 피해가 날로 커지고 있는 만큼 폭스바겐코리아가 배출가스 조작과 인증 서류 위조와 관련해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한 업체 관계자는 "폭스바겐이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의 피해만 가중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문제가 된 차량의 리콜을 성실히 이행하고 피해자 보상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6.09.19 07:00
경제

폭스바겐 퇴출 현실화…향후 파장은

환경부가 2일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이하 AVK)에 대한 판매중지 등 강력한 제재조치를 발표하면서 향후 파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AVK가 국내에서 판매한 차량 중 배기가스 및 소음 불법인증으로 판매중단된 차량은 총 8만3000대다. 여기에 지난해 11월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사건으로 인증취소 및 판매중단된 12만6000대를 더하면 총 20만9000대에 이른다. 업계에서는 "폭스바겐이 더 이상 한국 시장에서 장사하긴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사상 초유의 '판매중지'이날 환경부는 차량 배출가스·소음 시험성적서 조작 사실이 드러난 AVK 32개 차종(80개 모델) 8만3000대에 대해 인증취소와 함께 판매중지 처분을 내렸다.인증이 취소된 차량은 지난 2009년부터 올해 7월 25일까지 판매된 차량으로, 폭스바겐 골프·제타·파사트·티구안 등과 아우디 A4·A6 등 주요 차량들이 대거 포함됐다.위조 서류 별로는 배출가스 성적서 위조가 24개 차종, 소음 성적서 위조 9종, 배출가스와 소음 성적서 중복 위조 1종이다. 엔진 별로는 유로6 16개 차종, 유로5 2개 차종 등 경유차 18개 차종(29개 모델)과 휘발유차 14차종(51개 모델)이다.환경부 관계자는 "AVK는 약 70%에 달하는 차량의 인증이 취소돼 국내에 입고된 신차를 포함해 해당 차량은 당분간 판매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다만 과징금은 당초 예상보다 적은 총 178억원이 부과됐다.지난달 28일부터 개정된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제작차 인증기준을 어긴 자동차 제작사에 부과하는 1개 차종당 과징금 상한액이 1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인상됐다. 하지만 해당 차량들은 개정 이전에 판매된 것이어서 상향된 과징금이 아닌 기존 상한액 10억원을 적용했다는 게 환경부의 설명이다. 판매 정상화 가시밭길AVK는 인증 서류와 관련한 지적사항을 신속히 해결한 뒤 재인증을 신청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판매중지와 인증취소 등 환경부의 행정처분을 취소해달라고 요구하는 행정소송과 집행정지 신청을 내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AVK 관계자는 "(환경부 제재와 관련해) 법적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며 "또한 폭스바겐 내에서 한국 시장은 중요하기 때문에 하루 빨리 재인증을 준비해서 신청할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업계에서는 AVK가 재인증을 신청해도 정상적인 영업을 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환경부가 이날 인증취소 처분과 함께 향후 강도 높은 재인증 시험을 예고했기 때문이다.환경부 홍동곤 교통환경과장은 "통상 자동차 제조사나 수입사가 자동차 인증을 신청하면 서류검토만 진행하지만 AVK 차량은 '확인 검사'을 실시하기로 했다"며 "통상 절차는 3개월이면 끝나지만 확인검사에는 수 개월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환경부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AVK의 독일 본사를 방문해 검증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어서 재인증 절차가 끝날 때까지 몇 개월이 걸릴지 예상하기 힘들다.한 수입차 업체 관계자는 "이런 과정을 거치려면 최소 5~6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며 "이 기간 버틸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자칫 한국 시장 철수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여기에 AVK가 준비 중인 행정처분집행정지(가처분) 신청도 현실적으로 실익이 없다는 것이 전문가와 업계의 대체적 판단이다. 서류조작 사실이 명백하기 때문에 행정소송을 해도 승소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또 가처분 청구가 받아들여져 자동차 판매를 재개해도 위험 부담이 따른다. 가처분 기간 자동차를 판매했는데 만약 본 소송에서 패소하면 개정된 법의 적용을 받아 1개 차종당 100억원에 달하는 엄청난 과징금을 물어야 한다.업체 관계자는 "AVK가 만약 행정 소송에서 패소하면 차량 판매로 거둔 이익보다 과징금 폭탄으로 인한 손실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애꿎은 딜러사·소비자만 피해환경부의 이번 조치로 인해 일부 딜러사들은 유동성 위기에 내몰렸다. 토마스쿨 폭스바겐코리아 사장이 그동안 수 차례 딜러사들에 서신을 보내 "한국시장 철수는 없다"며 달래기에 나서왔지만 '개점휴업' 상황이 길어질 경우 딜러사들도 더 이상 버틸 여력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앞서 AVK가 판매중단을 발표하자 일부 딜러사들은 동요하기 시작했다. 주요 딜러사인 클라쎄오토는 인증중고차 사업 철수와 함께 핵심매장인 압구정 전시장을 철수했다.기존 소비자들의 금전적 피해도 우려된다. 일단 중고차 하락 등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실제 중고차 거래 사이트 SK엔카닷컴에 따르면 최근 6개월 여 간 AVK 중고차 가격은 12% 가량 떨어져 같은 기간 BMW와 벤츠 중고차의 시세 하락률(6~7%)보다 두 배나 급락했다. 또 향후 딜러사들의 이탈이 가속화될 경우 사후관리(A/S)를 받기도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 딜러사인 GS엠비즈가 지난 6월 마이스터모터스에 딜러권(전시장·서비스센터)을 넘기는 과정에서 양평에 위치한 서비스센터를 폐쇄됐다. 이에 AVK는 서류조작이 확인된 32개 차종 소유주들을 위한 인센티브 지급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홍동곤 환경부 과장은 "지난달 25일 청문회에서 AVK 측은 한국에서 철수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피해 차량 소유주들을 위한 보상안 마련을 검토하겠다고 구두로 전했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6.08.03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